Post

JAVASCRIPT) 1. 변수

1. 변수

01. 변수 : 데이터 저장

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참조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. 변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데이터 저장: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가리킵니다. 이 메모리 공간에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숫자, 문자열, 배열, 객체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.

변수 선언: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. 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, const, var 키워드를 사용합니다. 이 키워드는 변수를 선언하는 데 사용됩니다.

값 할당: 변수에 값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등호(=)를 사용합니다. 등호의 왼쪽에는 변수의 이름을, 오른쪽에는 변수에 할당할 값을 넣습니다.

변수 이름: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, 숫자, 밑줄(_)로 구성됩니다.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,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변수 사용: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오거나 변경하기 위해서는 변수의 이름을 사용합니다. 변수의 이름을 사용하여 해당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.

1
2
3
4
5
6
7
8
9
{
    let x = 100;
    let y = 200;
    let z = "javascript";

    console.log(x);
    console.log(y);
    console.log(z);
}


02. 데이터 저장 + 데이터 변경

JavaScript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. 변수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에서 값을 저장하고 나중에 필요할 때 해당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 변경은 변수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여 이루어집니다. 이를 통해 변수의 값은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. 변수 x와 y는 새로운 값으로 변경되었고, 변수 z는 “jquery”로 변경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{
    let x = 100;            //변수 x에 숫자 100을 저장
    let y = 200;            // 변수 y에 숫자 200을 저장
    let z = "javascript";   //변수 z에 문자 javacripts를 저장

    x = 300;        // 변수 x에 새로운 값 300을 할당
    y = 400;        // 변수 y에 새로운 값 400을 할당
    z = "jquery"    // 변수 z에  "jquery" 문자열을 할당

    console.log(x);     //변수 x의 값인 300을 출력
    console.log(y);     //변수 x의 값인 400을 출력
    console.log(z);     //변수 z의 값인 "jquery"를 출력
}


03. 데이터 저장 + 데이터 변경 + 데이터 추가

JavaScript 변수는 데이터 저장소로 작용하며, 값을 저장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 변경은 변수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여 이루어지며, 데이터 추가는 객체나 배열과 같은 자료구조에 새로운 속성이나 요소를 추가하여 이루어집니다.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{
let x = 100;                //변수 x에 숫자 100을 저장
let y = 200;                //변수 y에 숫자 200을 저장
let z = "javascript";       //변수 z에 문자 "javacript" 을 저장

x += 300;                   //변수 x의 값에 100을 더하고 그 결과를 다시 변수 x에 저장
y += 400;                   //변수 y의 값에 100을 더하고 그 결과를 다시 변수 y에 저장
z += "jquery";              //변수 z의 값에 "jquery" 문자열을 더하고 그 결과를 다시 변수 z에 저장
 
console.log(x);
console.log(y);
console.log(z);
}

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

Trending Tags